Top 31 포 방부 해외 반응 All Answers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포 방부 해외 반응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avitour.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포 방부 해외 반응 화력에 미쳐버린 포방부, 포방부 폴란드볼, 포방부 알고리즘, 한국 화력 만화, 포방부 짤, 화력덕후 대한민국, 포방부 만화, 포방부 위엄


“포방부 선 넘었다” K3 설계도 공개! 전차 최초 수직발사관 달아버린 한국마하 5 속력으로 드론들 ‘우수수’
“포방부 선 넘었다” K3 설계도 공개! 전차 최초 수직발사관 달아버린 한국마하 5 속력으로 드론들 ‘우수수’


해외네티즌 “한국군은 포병을 사랑한다”

  • Article author: fyeong11.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2182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해외네티즌 “한국군은 포병을 사랑한다” 해외 밀리터리 게시판에 우리나라의 포병 부대 사진들이 올라와 여러 의견을 … 한국에서는 우스겟 소리로 국방부를 두고 “포방부” 라고 부르기도 해.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해외네티즌 “한국군은 포병을 사랑한다” 해외 밀리터리 게시판에 우리나라의 포병 부대 사진들이 올라와 여러 의견을 … 한국에서는 우스겟 소리로 국방부를 두고 “포방부” 라고 부르기도 해. 해외 밀리터리 게시판에 우리나라의 포병 부대 사진들이 올라와 여러 의견을 나누고 있었습니다. saargrin 현대 전장에서 곡사포들의 생존성은 어떻게 돼? 반면에 북한군을 현대적이라고 말할 수 없기는 하..
  • Table of Contents:

‘해외반응’ Related Articles

최근 포스트

검색

해외네티즌
해외네티즌 “한국군은 포병을 사랑한다”

Read More

포 방부 해외 반응

  • Article author: www.youtube.com
  • Reviews from users: 35666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포 방부 해외 반응 포 때문에 살고 포 때문에 이기는 화력덕후 대한민국 포방부 … 한국 국방부는 어쩌다 포방부가 되었을까? … [중국반응] K9 자주포 해외수출량 1,000문 돌파!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포 방부 해외 반응 포 때문에 살고 포 때문에 이기는 화력덕후 대한민국 포방부 … 한국 국방부는 어쩌다 포방부가 되었을까? … [중국반응] K9 자주포 해외수출량 1,000문 돌파!
  • Table of Contents:
포 방부 해외 반응
포 방부 해외 반응

Read More

한국 군대 사상 최대 규모의 대규모 실탄 사격 훈련 현장 – 밀리터리샷

  • Article author: travelview.co.kr
  • Reviews from users: 10660 ⭐ Ratings
  • Top rated: 4.4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한국 군대 사상 최대 규모의 대규모 실탄 사격 훈련 현장 – 밀리터리샷 대한민국 육군은 ‘포방부’라는 별칭을 가졌는데, 그 이유는 산이 많은 한반도 … 또한, 훈련 영상을 본 해외 네티즌들은, “미국의 좋은 동맹국이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한국 군대 사상 최대 규모의 대규모 실탄 사격 훈련 현장 – 밀리터리샷 대한민국 육군은 ‘포방부’라는 별칭을 가졌는데, 그 이유는 산이 많은 한반도 … 또한, 훈련 영상을 본 해외 네티즌들은, “미국의 좋은 동맹국이죠, … 2015년 통합화력 격멸훈련은 한미 양국이 연합하여 실시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화력 훈련이다. 당시, 역대급 퍼포먼스를 자랑하며 외신도 주목하게 했는데, 과연 어땠을까?
  • Table of Contents:

막강한 화력 과시
역대급 퍼포먼스에
외신마저 놀란 훈련

2015 통합화력 격멸훈련
최신 무기와 병력 동원

국군의 주력 무기
K-2 전차와 FA-50

주한 미군의
주력 무기는

“멋있고 무섭다”
네티즌들의 반응

랭킹 뉴스

금주 BEST 인기글

금주 BEST 인기글

1 2

한국 군대 사상 최대 규모의 대규모 실탄 사격 훈련 현장 - 밀리터리샷
한국 군대 사상 최대 규모의 대규모 실탄 사격 훈련 현장 – 밀리터리샷

Read More

한국은 포방부라는 별명 얻게된 놀라운 이유, “인도네시아 초상집 만든 비장의 무기 대공개합니다” – 오토포스트

  • Article author: autopostkorea.com
  • Reviews from users: 44924 ⭐ Ratings
  • Top rated: 3.4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한국은 포방부라는 별명 얻게된 놀라운 이유, “인도네시아 초상집 만든 비장의 무기 대공개합니다” – 오토포스트 K-9 자주포는 해외에서도 많이 찾는 한국의 명품 무기다. … 한국은 포방부라는 별명 얻게된 놀라운 이유, “인도네시아 초상집 만든 비장의 무기 대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한국은 포방부라는 별명 얻게된 놀라운 이유, “인도네시아 초상집 만든 비장의 무기 대공개합니다” – 오토포스트 K-9 자주포는 해외에서도 많이 찾는 한국의 명품 무기다. … 한국은 포방부라는 별명 얻게된 놀라운 이유, “인도네시아 초상집 만든 비장의 무기 대 … K-9 자주포는 해외에서도 많이 찾는 한국의 명품 무기다.
  • Table of Contents:

랭킹 뉴스

금주 BEST 인기글

금주 BEST 인기글

1 2

한국은 포방부라는 별명 얻게된 놀라운 이유,
한국은 포방부라는 별명 얻게된 놀라운 이유, “인도네시아 초상집 만든 비장의 무기 대공개합니다” – 오토포스트

Read More

한국 군대가 포방부로 불리는 이유, 이런 결과물이 탄생했습니다 : 네이버 포스트

  • Article author: m.post.naver.com
  • Reviews from users: 30220 ⭐ Ratings
  • Top rated: 3.4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한국 군대가 포방부로 불리는 이유, 이런 결과물이 탄생했습니다 : 네이버 포스트 해외에 팔 수도 없는 상황이니 어떤 방법으로든 340만 발의 105mm 포탄을 국내에서 활용할 방안을 찾아야 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한국 군대가 포방부로 불리는 이유, 이런 결과물이 탄생했습니다 : 네이버 포스트 해외에 팔 수도 없는 상황이니 어떤 방법으로든 340만 발의 105mm 포탄을 국내에서 활용할 방안을 찾아야 했다.
  • Table of Contents:
한국 군대가 포방부로 불리는 이유, 이런 결과물이 탄생했습니다 : 네이버 포스트
한국 군대가 포방부로 불리는 이유, 이런 결과물이 탄생했습니다 : 네이버 포스트

Read More

포방부는 정말 지구방위대급의 전력을 가진 걸까

  • Article author: wizardiron.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7903 ⭐ Ratings
  • Top rated: 4.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포방부는 정말 지구방위대급의 전력을 가진 걸까 대한민국 육군을 농담반 진담반으로 ‘포방부’ 라고 부른 것을 어디선가 … 으로 실제 해외 원정시 사용하는 자주포는 600여문이 안된다고 하는군요.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포방부는 정말 지구방위대급의 전력을 가진 걸까 대한민국 육군을 농담반 진담반으로 ‘포방부’ 라고 부른 것을 어디선가 … 으로 실제 해외 원정시 사용하는 자주포는 600여문이 안된다고 하는군요. 세계에서도 독보적인 우리나라의 포병전력 대한민국 육군을 농담반 진담반으로 ‘포방부’ 라고 부른 것을 어디선가 보신 적이 있을겁니다. 포병전력에 심하게 몰빵(?)하다 보니 만들어진 용어로 산악이 많은 짧은..
  • Table of Contents:

태그

‘기타공학다른 공학들’ Related Articles

공지사항

최근 포스트

태그

검색

전체 방문자

포방부는 정말 지구방위대급의 전력을 가진 걸까
포방부는 정말 지구방위대급의 전력을 가진 걸까

Read More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

  • Article author: www.gasengi.com
  • Reviews from users: 40466 ⭐ Ratings
  • Top rated: 3.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 한국에서는 우스겟 소리로 국방부를 두고 “포방부” 라고 부르기도 해. └ bman333 그 점은 몰랐었네, 그치만 북한군이 보병 중심인걸 생각해보면,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 한국에서는 우스겟 소리로 국방부를 두고 “포방부” 라고 부르기도 해. └ bman333 그 점은 몰랐었네, 그치만 북한군이 보병 중심인걸 생각해보면,
  • Table of Contents:

HOME

회원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

Read More

대한민국 포방부의 야망.jpg | 유머 게시판

  • Article author: bbs.ruliweb.com
  • Reviews from users: 451 ⭐ Ratings
  • Top rated: 3.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대한민국 포방부의 야망.jpg | 유머 게시판 시즈탱크는 시즈모드 시켜야 장거리 포격이 가능하지만 포방부는 이미 탱크에 높낮이 조절 … 여기애들 반응만 보면 자주포 한국이 발명한줄ㅋㅋㅋㅋ.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대한민국 포방부의 야망.jpg | 유머 게시판 시즈탱크는 시즈모드 시켜야 장거리 포격이 가능하지만 포방부는 이미 탱크에 높낮이 조절 … 여기애들 반응만 보면 자주포 한국이 발명한줄ㅋㅋㅋㅋ.           포로 모든걸 해결하고싶어하는 그 군대루리웹, RULIWEB
  • Table of Contents:

GNB 메뉴

루리웹 인증 BEST 메뉴

본문

대한민국 포방부의 야망.jpg | 유머 게시판
대한민국 포방부의 야망.jpg | 유머 게시판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honvietnam.com/blog/.

해외네티즌 “한국군은 포병을 사랑한다”

해외 밀리터리 게시판에 우리나라의 포병 부대 사진들이 올라와 여러 의견을 나누고 있었습니다.

saargrin

현대 전장에서 곡사포들의 생존성은 어떻게 돼?

반면에 북한군을 현대적이라고 말할 수 없기는 하지만

└ turbografx

가공할 위력의 항공 전력과 대포병 능력을 지니고 있는 적을

상대할때에는, 아마도 포병들은 사격한뒤 재빠르게 사격 위치를

벗어나야만 해, 그들은 항상 방열-장전-사격-방열해제-이동 과정을

가능한 빨리 할 수 있도록 훈련을 하지. 북한군은 절대로 제공권을

장악할 수 없지만, 대포병 사격은 할 수 있어, 아마도.

└ saargrin

그들이 이동 대열에서 사격 위치로 배치되는데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지? 사격 통제 컴퓨터를 작동시키고 일제사격을 실시하는데까지 말이야

└ turbografx

잠깐만, 내가 영상을 찾을 수 있으면 보여줄게, 어딘가에서 정말 좋은

실사격 영상을 본 적이 있거든.

수정: 여기 방열하고 사격하는 영상 하나야

https://www.youtube.com/watch?v=TOd1ZlaBxtM

내가 원래 소개해주고 싶었던 영상은 못 찾았어, 하지만 내가 올린 위 링크도

방열과 방열해제에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 아는데 도움이 될거야. M777의 사격 속도는

1분에 수 발의 포탄은 목표물에 날릴 수 있을 만큼 충분해. 기본적으로,

정지 상태에서 다시 이동까지는 15분 이하의 시간이 걸려.

M777 같은 견인 곡사포들은 견인 차량에서 해제 하는데 2분 30초 정도가 걸리고,

방열하는데 2-3분 정도, 목표물에 몇방 먹이는데는 1분 이하의 시간이 걸려.

자주포들은 이 모든 것들을 4분 이내에 할 수 있고.

여기 급속 사격하는 영상들도 한번 보도록 해:

https://www.youtube.com/watch?v=wCXqcBpURZE

└ Vladthewarrior

만약 팔라딘이라면, 쏘고 움직이고 쏘고 움직이고 쏘고 움직이고

그 짓하다가 중간에 몇군데 작살나기는 하겠지만, 그래도

전능한 하나님의 보우하사, 자주포는 움직일 수 있다고

└ saargrin

아니, 난 자주포가 아니라 견인포들에 대해서 말하는 거야..

견인포들은 사격하고 나서 다시 이동하는걸 그렇게 빨리 할 수 없잖아

└ Mrprocrastinaut

자주포들에 비교해서 견인포들을 사격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방열하는게 쉽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견인포들은 자주포에 대해서

가격이 값싸고 공중을 통해서 운송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잖아.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운용 병력들의 훈련이지.

└ xampl9

북한은 수 많은 포탄을 가지고 있고, 서울은 너무나도 쉬운 표적이지.

“양이 곧 질이다” -이오시프 스탈린

└ HauserHarryBush

거기다 나는 북한이 산 속의 동굴에 포들을 숨겨 놓았다는

이야기도 들었지, 그들이 사격을 한 뒤 다시 산속 동굴에 옮겨 놓으면

반격 사격에도 안전하다는군.

No-Coast-Punk

시즈 탱크 러쉬다 ㅋㅋㅋㅋㅋ

mojave955

한국군이 포병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좀 알려주자면…

한국 육군과 해병대는 약 600대의 K-9 자주포와 1100대의 K-55/A1 (M-109) 자주포,

5000대 이상의 견인포, 600대의 자주박격포, 약 156대의 130미리 다연장로켓포,

58대의 240미리 M270 다연장로켓포를 가지고 있지.

더구나 맨 위에 있는 K-9 자주포의 경우에 500~600대를 추가 생산할 뿐만 아니라,

105미리 견인포 전량을 차륜형 자주포로 개량할 계획이야.

뿐만 아니라 한국은 70대의 신형 다연장로켓포를 생산중이고,

수 많은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까지 생산하기 시작했어..

(게다가 이미 이전부터 가지고 있던 엄청난 양의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까지 생각하면..)

난 아마도 이게 한국 전쟁 때 북한군 포병에게서 받은 트라우마 때문에 그러는게 아닐까 생각해..

└ Qixotic

그러고보니 그 자주포를 만든 회사가 스마트폰 만드는 회사랑 똑같은 곳이었잖아!

생각해보니 참 웃기네

└ bman333

김정은이 수십만의 보병을 가지고 있으니, 아마 한국은 꽤나 그 점을 위협으로

생각하고 있을거야, 그러니 한국군이 그런 엄청난 양의 포병을 가지고 있는거고,

한국 아주 똑똑한데.

└ mojave955

한국인들 사이에서 한국군을 비판할때 나오는 주요 논점이 바로 너어어어어무

육군 중시라는 사실이야. 북한 때문에 강력한 육군을 가지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국방부는 너무 심하게 육군에 중시하고 있고, 해군과 공군에는 인색한 편이야.

한국에서는 우스겟 소리로 국방부를 두고 “포방부” 라고 부르기도 해

└ bman333

그 점은 몰랐었네, 그치만 북한군이 보병 중심인걸 생각해보면,

결국 정치적 요인 때문이잖아?

└ (이름없음)

아시아 지역에는 중국과 다른 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해양 분쟁들이 존재하고 있어,

따라서 그들은 강력한 해군이 필요하지.

└ bman333

그렇구나.

└ tadbit8

포병은 아마 북한과 싸우는데에 가장 효과적이고 가격대비 가장 우수한 수단일거야.

└ RedLeg13

내 생각은 좀 다르다네! 나는 북한을 위대한 영도자 친구로부터 구원하고

돼지 정권을 전복하는데 내 소고기 가슴살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하네!

그들은 수십년 동안 고기 조각 구경도 못 해봤을거라고!

└ tadbit8

하하하 그치만, 니 소고기 가슴살들은 전부 위대한 영도자 뱃속으로 들어갈텐데

└ RedLeg13

이미 보여, 내 고기들이 지금 위대한 영도자 입에 들어가있어, 끔찍한 광경이군!

└ (이름없음)

좋아! 나는 미국인이지만! 그 가슴살들을 위해서 난 북한을 배신할 준비가 되어있어!

자! 그러니 어서 그 고기 좀 줘!

RumpleForeSkin72

M270 포대를 트럭 위에다 올려 놓은 듯한 녀석의 장전모듈(LLM)은 미군이 사용하는

HIMARS 시스템과 비슷해 보이네.

나는 오래전에 한국에 있는 주한미군 MLRS(다연장로켓포) 부대에서 근무했었는데.

이렇게 저 물건들을 아직까지도 야전에서 굴리는 모습을 보니까 뭔가 기분이 오묘하네.

라이센스 생산하는건 아직 불가능할텐데. 궤도 차량들은 전원 지대에서 기동하는게

그렇게 달갑지는 않다는걸 알기 때문에,

저런 차륜형 장비에도 나름의 이점이 있다는걸 알 수 있어.

17번째와 18번째의 사진에 있는 저 M270 서로 다른 두대를 찍은건지 아니면 똑같은 한대를

찍은건지 알 수 있을까?

Perspective133

북한도 포병을 엄청 좋아하지, 다른 기사에서 북한이 공격을 시작하면 몇시간 만에

서울을 초토화 해버릴 수 있는 충분한 양의 포탄과 포들을 가지고 있다는 걸 본적이 있어.

└ Taibo

서울의 문제는 휴전선에서 너무 가깝다는 사실이지,

18세기에 쓰던 박격포로도 DMZ에서 서울까지 공격할 수 있을걸

└ ToadFoster

사실, 서울의 북부 지역은 DMZ로부터 30km 이상 정도 떨어져 있지, 오직 북한의

대구경 포탄과 몇몇 종류의 로켓포들만이 도달할 수 있는 곳이야. 반면에 북한이

대다수를 보유하고 있는 보다 작은 구경의 포탄들은 서울까지 도달하지도 못하지.

서울이 북한의 포병 공격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포탄이 비오듯이 쏟아지고 불바다가 된다는 건 과대포장된 이야기야.

└ mojave955

솔직히 말해서, “몇시간만에 서울을 초토화로 만든다” 는 정말, 정말 심각하게

부풀려진 이야기야, 그래, 북한의 포격이 서울의 거리를 혼잡하고 혼란스럽게 만들

수는 있겠지만, 우리가 2011년 연평도 포격 도발 사건 때 보았던 것 처럼, 북한의

포병들은 우리가 생각한 것 만큼 강력하지도 않다는 걸 알 수 있었어.

더구나 서울의 대부분의 건물들은 강화된 콘크리트로 지어져있는데, 이는 포격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기 위해서야. 오직 아주 소수의 포탄 몇 발이 간신히 서울의 중심부에

다다를까 말까 할거야.

한국군/미군의 작전계획은 선제타격이기도 하지, 만약 북한이 서울을 공격하려 한다면.

분명 북한에는 대규모의 보급 움직임이 보일 것이고, 미국의 정찰자산이 이를

감지할 거야.

정말 사람들이 걱정해야할 점은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막대한 양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많은 양의 화생방 무기들이라고 생각해.

Frostiken

사진보고 놀란 게 뭐냐면, NATO 장비들이 나오다가 갑자기 수많은 BM-21 들이 나타났다는 거야

└ SomePolack

흥미로운 사실 하나를 알려주자면, 한국군이 소련/러시아제 장비 또한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야, 이 사업의 이름을 잊어버렸는데, 한국은 이 사업을 통해서

수많은 양의 장비들을 러시아로부터 헐값으로 들여왔다는군.

└ mojave955

그 녀석들은 K-136 다연장 로켓포야. “서방 BM-21” 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지.

80년대에 한국이 이걸 개발할 때 BM-21 사진을 보고 “흠, 우리도 이거랑

똑같은 거 만들어야 겠는걸” 하고 만들었다는거야.

mrtelven

저 곡사포들 옆에서 자기를 보호하려면 이어플러그를 준비해야 겠군.

번역기자:Jyunkei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한국 군대 사상 최대 규모의 대규모 실탄 사격 훈련 현장

막강한 화력 과시

역대급 퍼포먼스에

외신마저 놀란 훈련

대한민국 육군은 ‘포방부’라는 별칭을 가졌는데, 그 이유는 산이 많은 한반도의 특성을 고려해 강력한 화력을 선보이는 포병 전력 강화에 힘썼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의 군대는 자국 무기의 화력을 과시하기 위해 기념비적인 날을 선정하여 공개 사격 훈련을 실시하는데, 우리나라도 그중 하나다.

우리 군은 지난 1977년 6월 23일에 박정희 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사상 최초로 국산 무기를 동원한 공지 합동 화력 시범을 실시한 이후, 2017년까지 총 9번의 통합화력 격멸훈련을 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의 화력 훈련은 역대급 퍼포먼스를 자랑하며 외신도 주목하게 했는데, 과연 어땠을까?

2015 통합화력 격멸훈련

최신 무기와 병력 동원

우리 군은 지난 2015년 8월 28일,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한 과학화 훈련장에서 미군과 연합하여 사상 최대 규모의 합동 통합화력 격멸훈련을 실시했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실시한 해당 훈련에서는 한미 양국 군 47개 부대 병력 2,000여 명이 동원되었다.

당시 불거졌던 DMZ 지뢰 폭발 사고와 같은 북한의 도발에 맞서, 강력한 응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1만여 발에 달하는 탄약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외 주요 인사들을 초청한 무기 시연에서는 K-2 전차를 비롯해 FA-50, K-21 장갑차 등의 당시 국군 최신무기와 주한 미군의 M-2 브래들리 장갑차, AH-64 아파치 헬기 등을 선보였다.

국군의 주력 무기

K-2 전차와 FA-50

엄청난 화력을 선보였던 K-2 흑표는 1995년부터 개발이 진행되어 2014년 4월부터 실전 배치된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전차로, 주 무장은 55구경장 120mm 활강포를 채택했다. 4세대 사격통제장치가 탑재된 K-2 전차는 목표물을 자동으로 추적, 탐지하고 레이저로 거리를 측정하여 차체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목표물을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다.

화려한 폭탄 투하 장면으로 관광객의 눈을 사로잡았던 FA-50 파이팅 이글은 KAI가 개발·생산한 초음속 다목적 경공격기이다. 필리핀, 이라크에서는 이미 실전 배치가 완료되었고 다수의 유럽 국가가 눈독을 들이고 있는 FA-50은 20mm M197 3열 기관포를 포함하여 폭탄과 미사일로 무장한 국군의 전력 항공 병기이다.

주한 미군의

주력 무기는

현재는 우리 군에도 도입된 지구상 가장 센 공격헬기, AH-64 아파치 헬기는 2.75인치 로켓과 30mm 기관포로 화끈한 화력을 보여줬다. 아파치 헬기는 8km 거리에서 거의 은폐된 상태로 1,000개의 표적을 탐지하며, 36개의 표적을 동시에 공격할 수 있다.

육중한 몸집으로 관심을 받았던 M-2 브래들리 장갑차도 훈련에 참가했다. 전차를 엄호할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전투를 수행할 수 있는 브래들리 장갑차는 25mm 부시마스터 기관포와 M240C 7.62mm 기관총으로 무장한 미군의 현용 기갑 전투차량이다.

“멋있고 무섭다”

네티즌들의 반응

한편, 한미 군 전력을 총 동원한 사상 최대 규모의 화력 격멸훈련을 본 네티즌들은, “진짜 뿌듯하다 군사력… 더 막강해졌으면 좋겠다”, “보면서 소름 돋았다, 대한민국 파이팅”, “정말 멋지네요 국군 장병 여러분들 고생 많으셨습니다”, “이런거 볼 땐 세금 아까운 줄 모르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또한, 훈련 영상을 본 해외 네티즌들은, “미국의 좋은 동맹국이죠, 오래 가자 한국”, “지금까지 봤던 화력 훈련 중에 가장 멋있다”, “짧은 시간에 많은 폭발이 일어나네, 인상적이다”, “존경스럽다 대한민국 계속 정진해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국은 포방부라는 별명 얻게된 놀라운 이유, “인도네시아 초상집 만든 비장의 무기 대공개합니다”

자주포는 자력으로 이동이 가능한 대포를 말하며, 기존 견인포의 단점을 보완한 무기다. 발사까지 준비 시간이 짧으며, 발사 후 신속한 이탈로 대포병 사격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방호 능력도 어느 정도 갖춰 승무원들의 생존성을 높여준다.

한국은 세계적으로도 많은 자주포를 운용하고 있다. 심지어 미국보다도 자주포를 더 많이 운용하고 있다. 그중에서 K-9 자주포는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명품 무기로 평가받고 있으며, 다른 나라에도 수출되어 해당 나라의 국방을 책임지고 있다.

K-55 곡사포를 생산한 경험으로

개발한 국산 자주포

한국군은 미군으로부터 M107을 들여오면서 자주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포 구경이 한국군이 사용하는 105mm, 155mm보다 큰 175mm이다 보니 예비 포탄이 부족했고, 상부가 개방된 오픈 탑 구조여서 대포병 사격에 매우 취약했다. 거기다가 기술의 발전으로 155mm 포탄으로도 175mm 포탄에 버금가는 사정거리를 가지게 되면서 한국군 또한 155mm M109A2를 면허생산한 K-55 자주포로 대체했다. 대략 1,000문 가량 생산해 실전 배치되었다.

하지만 한국군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1989년, K-55와 KH179 155mm 견인포를 운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국산 자주포를 개발하는 사업에 착수한다. 국방과학연구소와 삼성테크윈(현 한화디펜스)이 개발했으며, 1999년부터 생산해 실전 배치되었다. K-9 개발에는 K-55를 운용한 경험이 있던 인원이 참여해 성능 평가를 꾸준히 진행했으며, 실전 배치 이후에도 부대에 성능검사원이 함께 상주하면서 여러 가지를 테스트했다.

K-9 자주포의

제원 살펴보기

K-9 자주포의 제원을 살펴보면 모든 포탄 적재 완료 시 중량 47톤, 전장 12m, 전폭 3.5m, 전고 3.28m이다. 155mm 구경을 가진 주포를 장착하고 있으며, 부무장으로 K6 중기관총이 장착되어 근접한 적과 교전 가능하다.

엔진은 MTU사의 Ka-500 디젤엔진이 탑재되었으며, 1,000마력의 높은 출력을 발휘한다. 참고로 MTU사는 우리도 잘 아는 마이바흐의 역사가 시작된 회사다. 최고 속도는 67km/h이며, 1회 주유 시 최대 작전거리는 360km이다. 승무원은 총 5명이 탑승할 수 있다. 차체에는 강철 장갑재를 적용해 10m 위에서 터진 155mm 고폭탄의 폭압이나 파편에 대해 방호와 14.5mm 중기관총 방호, 하부에서 터지는 대인지뢰 방호가 가능하다.

신속한 발사

높은 화력

K-9은 자동화된 사격통제체제를 갖춰 사격 명령을 접수하고 30초 이내에, 기동 중이라도 1분 이내에 초탄 발사가 가능하다. 기존 K-55 자주포는 발사하려면 후방에 있는 스페이드를 땅에 박아야 하기 때문에 초탄 발사까지 빨라야 2분이었다.

또한 자동 탄 장전 장치를 갖춰 15초 동안 3발을 급속으로 사격할 수 있으며, 3분 동안 분당 6발 발사가 가능하다. 집중 사격이 필요할 때 신속하게 다량의 화력을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3분 동안 최고 속도로 발사한 후에는 분당 2발로 느려진다.

K-9에는 다양한 155mm 탄약을 사용할 수 있다. K307 탄을 사용할 시 최대 사정거리는 40km이며, 2020년 전력화된 K315 사거리 연장탄을 사용하면 최대 54km까지 발사 가능하다.

또한 K-9이 발사하는 포탄은 이중목적탄이라고 불리는 고폭탄으로 포탄 내부에 수십 개의 자탄이 존재해 K310 탄 기준으로 5,100m2의 넓은 면적을 타격할 수 있다. K-9에서 수십 발만 발사해도 실질적으로는 천 발 가량을 쏜 것과 맞먹는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군사전문가들이 분석한 바 있다.

동시탄착기술

TOT 사격과

MRSI 사격이 가능하다

K-9 자주포는 동시탄착기술이라고 불리는 TOT 사격이 가능하다. K-9 6문이 발사한 포탄이 동시에 적진에 떨어지는 것으로, 화력을 한 곳에 집중시켜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15초 안에 3발 급속 사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용해 1문의 K9 자주포가 서로 다른 각도로 3발을 발사해 동시에 착탄시키는 MRSI 사격이 가능하다. TOT 사격과 MRSI 사격을 동시에 활용하면 18의 포탄을 적진에 집중포화할 수 있다.

한국 지형에 최적화된

우수한 기동력

K-9 자주포는 기동력이 매우 우수하다. 전차를 기반으로 자주포를 만든 것이 아닌, K-9을 위해 차체를 새롭게 개발했으며, 47톤의 중량을 움직이기 위해 1,000마력의 고출력 디젤 엔진을 탑재했다.

그 외에 무한궤도, 유기압 현수장치 등을 장착해 험지를 극복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한데, 이는 산악지형이 많은 한국 지형에서 작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또한 유기압 현수장치는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K-55에 있던 스페이드를 대체하는 역할도 해 사격 시 땅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다.

현재 한국군은

K-9을 지속적으로 개량 중이다

K-9 개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군은 더 뛰어난 자주포를 요구하게 되었다. 2013년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K-9 자주포 성능개량 사업이 가결되면서 시작되었는데, 자동사격통제장치의 운영체제를 텍스트 기반 도스체계에서 그래픽 기반 윈도우체계로 개선했으며, 디지털 지도와 전자식 교범을 탑재했다. 그리고 전자식시한장입기 연동 기능을 추가하고 새로 개발된 155mm 사거리연장탄 사격이 가능하도록 개량되었다.

또한 관성항법장치 INS와 위성항법장치 GPS를 추가하고 야간 잠망경을 미관증폭방식에서 비냉각 열상형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전자 장비가 새롭게 추가되는 만큼 늘어난 전력을 감당하기 위해 8kW 출력을 발휘하는 보조엔진이 적용되어 기동 중이 아닐 때에는 주 엔진을 꺼 연료 소비를 줄이고 주 엔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방카메라가 장착되어 더 안전하게 후진이 가능해졌다.

이렇게 개량된 자주포를 K-9A1이라는 이름으로 제식화되어 2018년부터 부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또한 배치와 동시에 K-9A2 개량에 대한 계획도 착수했다.

K-9A2는 발사속도를 50% 높이고 반자동 방식이었던 포탄과 장약 장전, 신관시한 장입을 완전 자동화한다. 그리고 고장진단/예측/배제시스템을 추가, 포강 크롬도금 등 추가 개량이 이뤄진다. 현재 K-9A2 개량이 진행 중이다. 향후 개량되는 K-9A3는 운용 병력 없이 원격으로 조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약 자동 보급이 가능한

K-10 탄약보급장갑차

자주포가 발사하는 155mm 포탄은 매우 무겁다. 포탄 무게만 40kg 이상이며, 포탄을 발사하는 추진체인 장약도 20kg이 넘는다. 자주포 내부에 포탄과 장약을 어느 정도 적재해 두지만 이것이 다 떨어지면 다시 재보급을 받아야 하는데, 이를 사람 손으로 들고 자주포에 채워 넣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탄약을 재보급받을때 자주포는 외부의 위협에 매우 취약해진다.

하지만 운반부터 재보급까지 자동으로 진행해 주는 차가 존재하면 이런 단점이 어느 정도 상쇄된다. K-10 탄약보급장갑차가 바로 이러한 역할을 하는 차량으로, K-9의 차체를 활용해 개발한 만큼 기본적인 스펙은 K-9과 동일하다. K-9과 동시에 개발되어 함께 양산되었다. 즉 애초에 K-9을 개발할 때 탄약 재보급도 염두에 둔 것이다.

K-10 내부에는 포탄 104발과 장약 504개를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대구경 포 대신 이송레일이 장착되어 있는데, 포탄과 장약이 바닥난 K-9 뒤쪽으로 이동해 이송레일을 포탑에 결합시키면 K-10이 알아서 포탄과 장약을 K-9에 보급해 적재까지 해준다. 사람 손으로 직접 보급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다량의 포탄과 장약을 보급해 다시 전투에 나갈 수 있다. 이송레일의 능력은 분당 12발이며, K-10에 완전 적재와 K-9에 완전 보급하는데 각각 37분, 28분이 걸린다.

물론 K-10도 어딘가에서는 탄약을 보급 받아야 되는데, 그 과정도 단순 도수 운반에 비하면 매우 편해졌다. 전장에서 포탄과 장약을 수송한 트럭에 이송 레일을 걸치고 트럭 적재함에서 이송 레일에 포탄과 장약을 올리기만 하면 나머지는 K-10이 알아서 내부에 수납한다. 다만 K-9과는 달리 전장에 직접 나서지는 않는데, 애초에 자주포는 빠르게 사격 후 신속하게 이탈 후 다른 곳에서 다시 사격하는 것이 기본 교범이기 때문에 K-10은 K-9보다 후방에 대기하고 있다가 포탄과 장약이 다 떨어진 K-9이 오면 그때 임무를 개시한다.

K-10은 단순히 포탄을 자동으로 재보급해주는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K-9의 차체를 활용한 만큼 비상시 K-10을 활용해 신속하게 수리가 가능하고, 이송 레일이 크레인 기능도 하기 때문에 기동이 불가능한 K-9이나 트럭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K-9과 동일한 방호 능력을 가지고 있어 필요시 APC 역할도 수행 가능하며(K200 장갑차보다 장갑이 두껍다고 한다), 상부에 장착된 K-6 중기관총으로 급작스럽게 침투한 적에게 대응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보급을 마치고 돌아가거나 후퇴할 때 부상병을 실어 나르는 역할까지 가능하다. 실제로 포탄과 장약이 빈 K-10의 내부는 꽤 넓은 편이라고 한다.

훌륭한 가성비를 가진 K-9

많은 국가가 선택하고 있다

K-9은 비슷한 성능을 발휘하는 독일의 PzH2000등 여러 자주포와 비교하면 훌륭한 가성비를 자랑한다. 가격이 한 문당 40억 원으로 경쟁 자주포 대비 절반 이하다. 또한 연평도 포격전을 통해 실전 경험을 쌓은 적도 있으며, 유지 보수도 다른 자주포보다는 편리한 편이라고 한다.

그 덕분에 많은 나라에서 도입 문의를 받고 있으며, 2001년 터키에 기술 수출을 진행해 300문을 라이선스 생산했다. 2014년에는 폴란드의 자주포 AHS 크라프의 차체를 변경하기 위해 K-9 차체를 국내에서 24대를 생산해 수출하고 96대는 폴란드가 2018년부터 라이선스 생산한다.

2017년에는 핀란드에 중고품 48문을 수출, 에스토니아에 중고품 12문을 수출했으며 에스토니아는 2020년 6문을 추가로 도입하는 계약을 확정했다. 인도에는 100문을 기술 수출했다. 2018년부터 라이선스 생산을 시작해 올해 초 100대째 생산이 완료되어 인도되었고, 나머지 필요분 150문에 대한 추가 생산 계약도 곧 진행할 것이라고 한다. 인도는 K-9을 활용해 파키스탄과 중국을 어느 정도 견제하고 있다.

2019년에는 노르웨이에 K-9 24문과 K-10 6대를 수출했다. 처음으로 K-9과 K-10이 패키지로 수출된 사례다. 이집트는 현재 수출을 위해 시험 평가 중이다. 물론 도입에 실패한 국가도 있는데, 덴마크는 차륜형 자주포 CAESAR을 도입하기로 결정하면서 불발되었고, 아랍에미리트는 원래 K-9 수출이 성사되었으나 독일의 대중동 무기 금수 조치로 인해 중단되었다. 왜냐하면 K-9의 엔진이 독일제이기 때문이다.

10년 만에 호주 수출 성사

인도네시아 견제 목적?

2010년, 호주의 차기 자주포 도입 사업에서 K-9는 PzH2000을 물리치고 우선 공급자로 선정된 바 있다. 당시 K-9과 K-10 패키지 하나가 60억 원 정도인데, PzH2000은 한문에 180억 원 정도를 제시했다. 가성비 부분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호주의 국방예산 문제 때문에 사업이 취소되면서 수출에 실패하고 M777 견인포를 추가로 도입했다.

사실 호주군 입장에서는 견인포를 운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유지 비용이 자주포에 비해 견인포가 훨씬 저렴하고, 호주는 국토가 매우 넓기 때문에 360km 정도의 작전거리로는 커버하기 힘들며, 차라리 견인포를 항공기에 실어 작전지역에 보내는 것이 훨씬 낫다. 거기다가 섬 지역이기 때문에 전면전 가능성도 낮아 자주포의 메리트가 떨어진다.

하지만 호주는 2020 국방전략 10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자주포 도입을 재추진한다. 2020년 9월, 호주 국방부는 한화디펜스를 우선 공급자로 최종 선정되면서 10년 만에 수출이 성사되었다. K-9 30문과 K-10 15대, 그 외 기타 지원 장비 등 합쳐서 규모가 무려 1조 원 정도라고 한다. 그 외 호주는 한국과 정상회담 등을 통해 양국 국방 협력을 강화했다.

호주가 K-9 자주포 도입 등 한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데에는 최근 남중국해로 진출하는 중국을 의식하는 것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인도네시아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보고 있다.

오래전부터 호주와 인도네시아의 사이는 좋지 않은 편인데, 이는 동티모르 때문이다. 인도네시아는 19세기 호주로 노동자들이 이주했지만 이들은 호주 내에서 심한 탄압을 받았으며, 호주가 영국으로부터 독립 후에는 백호주의 정책으로 아시아인들의 이민을 금지했다. 이후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면서 현재의 동티모르 지역을 강제 합병하면서 호주가 반발했다.

1960년대 중반에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간 국경 분쟁이 있었는데, 이때 호주가 말레이시아 편을 든 적 있었다. 말레이시아와 호주는 모두 영연방 국가이기 때문이었다. 반면 인도네시아는 영연방과는 관계가 없었다. 이때 호주군이 너무 적극적으로 개입하다 보니 두 국가 간 사이는 더 나빠졌다. 여기에 공산당 독재 정권이 들어서면서 반서방 정책을 펼쳤으며, 인도네시아인들은 호주가 오래전부터 동티모르를 탐내왔다고 믿고 있었을 만큼 호주를 비우호적으로 봤다.

또한 동티모르 동쪽 해안과 호주 대륙 사이에는 원유가 꽤 많이 매장되어 있는데, 바유-우단지역 매장량만 한화로 230조 원 규모라고 한다. 호주와 인도네시아는 이 지역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여왔다.

1997년, 인도네시아 독재 정권이 무너지고 민주화되면서 인도네시아가 강제합병한 동티모르에서 독립운동이 일어났다. 인도네시아 군부는 이를 무참히 진압해 대규모 희생자들이 나오자 유엔은 유엔평화유지군이라는 이름으로 무장병력을 동티모르 지역에 파견했다. 문제는 여기에 호주군도 참여해 동티모르의 독립을 지원했다. 이 때문에 옛날부터 호주에 반감이 있었던 인도네시아인들을 더욱 자극했다.

동티모르가 1999년 유엔의 관리하에 주민 투표를 통해 독립한 후, 인도네시아는 힘이 약해 동티모르를 빼앗겼다고 생각하고 주변국들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인도네시아는 열심히 군사력 증강에 나섰다. 이때 한국 무기를 많이 들여왔다. 고등훈련기, 잠수함, 지대공미사일 신궁 등 한국 무기를 폭발적으로 수입했는데, 어느 정도였냐면 한때 한국 무기 수출의 17%가 인도네시아일 정도였다.

그 덕분에 인도네시아는 2020년 기준으로 전 세계 국방력 16위로 평가되어 19위를 차지한 호주보다 강해졌다. 이렇게 한국 무기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군사력을 높이는 인도네시아를 보면서 호주 역시 한국과 국방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번에 K-9 도입을 진행하고 있다.

K-9 도입 등 육군 전력 증강이

동물 학살을 위한 것?

그러나 일각에서는 K-9 자주포 도입이 인도네시아 견제와는 관계가 없을 것이라는 말도 있다. 오래전부터 인도네시아와 호주가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었지만 2006년 상대방에 대한 주권과 영토 통합성의 존중을 명시하는 롬보크 조약을 맺으면서 양국 관계가 많이 좋아졌다. 이때 한국이 갈등을 중재했다고 한다. 거기다가 호주는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인 만큼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K-9 도입과 같은 육군 전력을 증강할 것이 아니라 해군이나 공군을 증강시키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이다.

또한 과거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을 제외하고 호주를 침공했던 국가는 없었으며, 현재는 세계적으로도 군사 강국이고 많은 나라와 협력하는 만큼 호주 본토에 침공할 만한 나라는 딱히 없다. 그렇다 보니 육군력 증강은 국방력보다는 동물을 학살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말이 있다.

오래전부터 호주는 다른 나라의 전투보다 동물과의 전투가 더 많이 알려졌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토끼다. 1800년대 영국에서 토끼 24마리가 들어왔는데, 몇 마리가 도망치면서 천적이 적은 호주에서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참고로 호주는 포유류계의 바퀴벌레라고 불릴 만큼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 1930년, 호주 내에 있는 토끼는 단순 추정만으로 10억 마리가 넘었다고 한다.

폭발적으로 늘어난 토끼는 풀과 나무뿌리 등을 갉아먹으면서 영토를 황폐하게 만들었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토끼 사냥을 권장하고 토끼털을 헐값으로 대량 수출했으며, 전쟁 중에는 통조림으로 만들어 군량으로 쓰기도 했다. 그래도 줄어들지 않자 폭탄은 물론이고 토끼에 치명적인 바이러스까지 활용해 꽤 많은 토끼를 학살했다. 그래도 여전히 토끼는 많다. 현재 호주에는 2억 마리의 토끼가 있다고 한다.

1930년대에는 토끼와 함께 농토를 황폐화시킨 에뮤들을 학살하기 위해 기계화 보병을 투입한 바 있다. 이는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전쟁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군대를 투입해 에뮤를 학살했지만 효과는 크지 않았다고 한다.

최근에는 낙타와의 전쟁을 선포하기도 했다. 호주에는 낙타 천적이 사실상 없어 현재 100만 마리 넘게 불어나 있는 상태다. 그 와중에 극심한 가뭄과 폭염으로 인해 물이 부족했는데, 그 많은 낙타가 물을 너무 많이 마시게 되면서 사람들이 필요한 물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하지만 5일 동안 1만 마리를 죽이는데 그쳐 사실상 패배한 상태라고 한다. 이렇다 보니 호주가 육군을 증강하는 것이 동물 때문이라는 해석도 충분히 가능하다.

[email protected]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포 방부 해외 반응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화력에 미쳐버린 포방부, 포방부 폴란드볼, 포방부 알고리즘, 한국 화력 만화, 포방부 짤, 화력덕후 대한민국, 포방부 만화, 포방부 위엄

See also  Top 14 중학교 과학 발명품 아이디어 The 134 New Answer

Leave a Comment